올해(24년) 5월 4일 광주 600K 브레베를 DNF 하면서 앞, 뒷타이어를 전부 교체함.
그 이전에는 슈발베 원 튜블리스 타이어를 잘 쓰고 있었는데, 브레베 이틀차 몰아치는 비바람속에서 펑크가 나고, 다트툴로 시도한 펑크 때우기가 실패하면서 마음이 꺾여버림.
이후 겸사겸사 그전에 봐두었던 비토리아 코르사 NEXT 28C 타이어로 앞뒷타이어를 다 교체하기로 했다. 타이어는 감사하게도 안방마님이 사주심.
이후 교체한 타이어를 달고 천안당진 브레베 600km를 포함하여 1700km를 달린 상태에서 섬진강 라이딩후 뒷타이어 옆구리가 실밥이 터지고 살짝 부푼것을 발견.
튜블리스 타이어의 경우 실밥이 터지거나 살짝 금간것은 괜찬지만 부풀면 무조건 교체! 해야한다고 들었던 터라 얼른 교체하기로 결정하고 같은 타이어를 주문했다. 가격은 7만원
앞타이어는 마모한계선 (TWI) 홀이 아직 무난하게 남아서 뒷타이어만 교체했다. 기존타이어를 탈거하고 실란트를 따뜻한 물로 닦아낸후 낑낑 거리면서 타이어를 끼우고 장펌프로 바람을 넣자 바로 비드가 자리를 잡았다.
밸브코어를 분리하고 주사기로 실란트를 넣고 흔들고 눞이고 돌리고 돌리고~~
하고 다음날 새만금방조제, 고군산도에서 60km 정도 라이딩 상태 OK
내 휠셋 (자이언트 SLR1)과 이 타이어는 궁합이 좋은것 같다. 요령이 부족해서 타이어를 끼울때마다 낑낑대기는 하지만 비드가 자리도 잘잡고 실란트를 넣지 않은상태에서도 꽤 기밀이 잘 유지된다.
이전에 썼던 슈발베 원도 설치는 편했지만 새로 설치한지 얼마 안된 상태에서 타이어에 바람이 빠지면 비드면이 쉽게 이탈하는 현상이 있었다. 집에서야 장펌프도 있고 튜블리스 세팅용 에어탱크도 있으니 상관없지만 좀 멀리 나갔을때 이러면 좀 곤란하지 않나....
이 타이어는 성능은.. 잘 모르겠고 많은분들이 추전하시고 세팅이 편하고 가성비가 꽤 괜찬은듯 해서 앞으로는 당분간은 계속 쓰게될것 같다.
5월에 펑크때문에 브레베를 포기했을때는 잠깐 다시 클린쳐로 가야하나 고민도 했지만 (휠셋이 클린처를 지원했으면 그때 기분이면 당장 갔을듯) 결국 튜블리스의 승차감 땜에 주저앉음... 사실 생각해 보면 근 1만km를 타는동안 타이어는 4세트 썼고 주행중 펑크는 한번 뿐이었으니 그만하면 쓸만 하지 않나 생각한다.
'자전거 > 부품, 용품 사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공구통에 넣어가지고 다니는 것들. (0) | 2024.02.20 |
---|